민간경비론8
<경비와 시설보호의 기본원칙>
1. 경비계획 수립의 기본원칙과 순서
(1) 경비계획 수립의 기본원칙
- 직원 출입구는 주차장으로부터 가급적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해야 합니다.
- 경비원의 대기실은 시설물의 출입구와 비상구에서 인접한 곳에 위치해야 합니다.
- 경비관리실은 출입자 등 통행이 많은 곳에 설치해야 합니다.
- 경계구역과 건물 출입구 수는 안전규칙 범위 내에서 최소한으로 유지되야 합니다.
- 경비원 1인이 경계해야 할 구역의 범위는 안전규칙상 적당해야 합니다.
- 건물 외부의 틈으로 접근 및 탈출이 가능한 지점 및 경계구역은 보호되어야 합니다.
- 잠금장치는 정교하고 파손이 어렵게 만들어져야 하고 열쇠를 분실할 경우에 대비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 비상시에만 사용하는 외부출입구에는 경비장치를 설치하고, 외부출입구의 통행은 통제가 가능해야 합니다.
- 항구 및 부두지역은 차량운전자가 바로 물건을 창고지역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고, 경비원에게 물건의 선적이나 하차를 보고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합니다.
- 효과적인 경비를 위해서는 안전경비조명이 설치되야 하고, 물건을 선적하거나 수령하는 지역은 분리되어야 합니다.
- 외딴 곳이나 비상구의 출입구에는 경보장치를 설치해야 합니다.
- 유리창이 지면으로부터 약 4m 높이 이내에 있는 경우에는 센서, 강화유리 등 안전장치를 설치해야 합니다.
(2) 경비계획 수립의 순서
- 일반적 순서: 경비문제의 발생 및 인지- 경비목표 설정- 경비요소 및 위해분석- 경비대안의 비교검토 및 최종안 선택- 경비의 실시 및 평가
- 경비계획의 과정: 경비대상조사- 경비계획수립- 경비조직관리 및 실행- 경비평가- 경비계획의 피드백
2. 경비부서 관리자 역할
(1) 예방상의 역할: 경비원에 대한 감독, 순찰, 화재와 경비원의 안전, 교통통제, 출입금지구역에 대한 감시
(2) 관리상의 역할: 예산과 재정상의 감독, 경비문제를 관할하는 정책의 설정, 사무행정, 조직체계와 절차의 개발, 경비부서 직원에 대한 교육 및 훈련과정의 개발, 고용인에 대한 경비교육, 다른부서와의 의사소통과 협조 등
(3) 경영상의 역할: 기획, 조직화, 채용, 혁신, 지도 및 감독
(4) 조사상의 역할: 경비의 명확성, 감시, 회계, 회사규칙의 위반과 모든 손실에 대한 조사, 일반경찰관서와 소방관서와의 유대관계, 관련문서의 확인
3. 외곽경비
(1) 외곽시설물 경비
- 울타리: 철조망, 가시철사, 콘서티나 철사
- 장벽 및 담장: 자연적인 장벽(강, 절벽, 협곡, 무성한 수풀지역 등), 구조물에 의한 장벽(울타리, 벽, 담장, 문, 도로상의 대책), 담장(시설물내의 업무활동을 은폐하기 위해 설치)
(2) 건물경비
- 창문과 출입구: 철망, 금속창살로 보호하며 경계구역과 연결되어 있는 창문과 출입구의 경우에는 튼튼한 구조물과 확실한 잠금장치가 있어야 하고, 비상출구 등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또한 긴급목적의 출입구는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열리지 않도록 하고 이는 원격통제에 의해 운영되는 전자식 장치와 경보장치를 설치해서 불법적 접근을 막아야 합니다. 대부분 외부침입자들은 창문을 통해 건물 내부로의 침입을 시도하므로 창문의 취약점을 주의해야 합니다.
- 지붕: 외곽시설물 중 가장 취약한 부분으로 경보시스템을 설치해야 합니다.
- 외벽: 허술한 인근 건물의 벽을 통한 침입을 받을 수 있으므로 감지시스템을 설치해야 합니다.
(3) 출입구 경비
- 직원 출입구: 출구나 입구를 하나로 지정하여야 합니다.
- 차량출입구: 차량출입구는 충분히 넓어야 하고, 차량통제에 대한 필요성이 특별하게 생기면 출입구는 해당시간에 맞추어 일방으로만 통행을 제한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일정기간이나 비상시에만 사용하는 문은 평상시에는 폐쇄하고 잠겨져 있어야 하고, 잠금장치는 특수하게 만들져야 합니다.
- 기타 출입구: 모든 출입구의 수를 파악하고 하수구, 배수로, 배수관, 사용하는 터널, 배기관, 엘리베이터 등도 출입구와 같은 차원에서 경비계획에 포함시켜야 합니다.
댓글